카페 전경





내부 이미지

끝쪽에는 대게 6인 테이블이 위치해 있다. 콘센트가 있는좌석도 몇석 보인다.




메뉴



조용하고 빛이 잘드는 곳을 좋아하는 편이라, 앞으로도 자주 오게 될 듯 하다.


대게 이 인근 장촌초등학교 앞(53블럭)에는 취미로 카페를 하시는분(자기집마당에 캠핑카 가져다놓고 하시는분도 있다..)과, 개인카페가 상당수 포진해 있다. 인테리어 업체에서 하는 카페도 있고.... 황금똥빵이라는 기막히지만 옜날맛이 나는 빵집도 있고.. 은근 맛집과 분위기 좋은 카페가 많은편.




Posted by creatoryoon
,

1.  극좌표 P(r,θ) 

평면위의 점  P의 위치를 극축(x축의 양의 방향)과 P사이의 각 θ와 원점과의 거리 R로 나타내는 2차원 좌표계를 극좌표계라고 한다.

직교좌표 점 P(x,y)와 점 P(r,θ)의 관계성이 존재한다.

(1) x^2+y^2=r^2 ⇔ x=rcosθ, y=rsinθ

(2) tanθ=y/x ⇔ θ=arctan(y/x)

(3) (r,θ)={(-1)^n,nπ+θ},(n은 정수)

(4) (r,θ)와 (-r,θ)는 원점 대칭을 나타내는 점이다.









직교좌표계에서 모든 점은 단 하나의 순서쌍으로 나타나지만, 극좌표계에서의 표시는 유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r, θ±2nπ)(n은 정수) 는 같은 점을 나타낸다.

또 r<0인 경우, 점 (-r,θ)와 (r,θ)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는 같고 수직선상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놓인다.

따라서 (-r,θ)와 (r,θ+π)는 같은 점을 나타낸다.




  1. 극방정식 (polar equation)

극방정식 점들로 구성된 그래프를 극곡선 이라고 한다. θ값의 변화에 따라 r값을 구하여 점으로 나타낸 뒤 연결하는 방법으로 그린다.


(1) (r,θ)={((-1)^n)r, nπ+θ} (n은 정수) 의 성질에 의해서 F(r,θ)=0의 그래프는 F{(-r)^n, nπ+θ}=0과 같은 그래프를 나타낸다.

(2) 극곡선 r=f(θ)의 그래프를 α만큼 회전시킨 그래프는 θ대신 θ-α를 대입한 r=f(θ-α)의 그래프와 같다.


3. 극곡선의 유형


(1)원

(2)심장형



이외 장미형과 연주형은 구글링을 해보자.

Posted by creatoryoon
,

개인적으로 극좌표와 직교좌표를 함꼐 볼 가이드가 있는 방안지를 찾다가 없어서 걍 만들었다.

극좌표용.pdf


Posted by creatory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