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1. 쌍곡선 함수
정의 |
|||
정의역 |
모든 실수 |
R |
R |
치역 |
모든 실수 |
-1<y<1 |
|
성질 |
기함수
|
우함수
|
기함수
|
그래프 |
|||
점근선 |
**
이지만, x의 값이 아주 클 때에
가 성립한다.
** 
2. 쌍곡선 함수의 성질과 공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역쌍곡선 함수
정의 |
|||
정의역 |
모든 실수 |
-1<x<1 |
|
치역 |
모든 실수 |
0<=y |
모든 실수 |
성질 |
기함수
arcsinh(-x)=-arcsinh x
|
기함수
arctanh(-x)=-arctanh x
|
|
그래프 |
* 
* 
* 
여기서 forcus를 정의역과 치역에 맞춰야 한다.
y=sinh x =
에서 역함수를 만들기 위해 x-y 대칭을 시키면
x=sinh y =
에서 y=arcsinh x가 되고
여기서 기존의 x의 정의역은 R이고 y의 치역은 R인 상태에서
서로 뒤바꼈으므로 x의 정의역은 Y의 R (기존의 치역) , y의 치역은 X의 R(기존의 정의역)
이 된다.
x=sinhy를 y에 대해 정리하려면,
t를 곱해주면 에서
이 되는데, 여기서
과
에서 t>0이므로
는 탈락,
가 t의 값이 되고, y=ln t 에서 로그를 취하면
= arcsinhx 가 된다.
이건 arccoshx 의 값을 구할때도 마찬가지로 이용하면 된다.
반응형
'취미 > 수학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푸스의 정리 증명 (토러스의 적분) (0) | 2019.10.03 |
---|---|
극좌표와 극곡선 (0) | 2018.11.29 |
극좌표 + 직교좌표 그래프 페이퍼 polar coordinate graph paper (0) | 2018.08.03 |
삼각함수 &역삼각함수 (1) | 2018.06.04 |
기초수학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 | 2018.04.19 |